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목록STUDY/자료구조 (1)
archive
해쉬 테이블(Hash Table)
해싱(Hashing)이란, 임의의 길이의 값을 해시함수를 사용하여 고정된 크기의 값으로 변환하는 작업이다. 해싱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저장하는 자료구조를 해시 테이블이라고 한다. 이진 탐색 트리나 배열에 비해서 빠른 속도로 탐색/삽입/삭제가 가능하다. 해시함수를 사용하여 변환한 값을 index로 삼아, key-value를 저장한다. 기본연산으로는 Search, Insert, Delete가 있다. ● Direct Address Table 키 값을 주소(인덱스)로 사용하는 테이블이다. - 장점 탐색, 삽입, 삭제가 O(1)에 가능하다. - 한계점 최대 키 값을 알고 있어야 한다. 키 값이 퍼져있다면 메모리 낭비됨. ● Hash Table 해쉬함수를 이용해 특정 해쉬값을 알아내고 이를 인덱스로 변환하여 해당 위..
STUDY/자료구조
2021. 4. 7. 23:08